'목 디스크'에 해당되는 글 2건
- 2007.08.25 목이 뻐근하다면 목 디스크? 23
- 2007.08.25 일자목 부르는 5가지 나쁜습관 - 심하면 목디스크도 유발…발에 맞지않는 신발 금물 12
◆' 설마'하면 큰 코 다치는 목 디스크=디스크라고 하면 50대 이상의 주부에게 많이 발생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때문에 목 디스크의 증세가 보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은 아닐거라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기 쉽지만 △목덜미가 뻣뻣하다 △평소 목 주변을 누가 누르고 있는 듯한 압박감이 느껴진다 △목덜미가 종종 간헐적으로 쑤신다 △어깨와 팔에도 통증이 온다 △손가락 끝이 당기고 저린다 △옆구리가 쑤시고 어지럽다 등의 증상들이 보인다면 목 디스크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반드시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하다.
◆ 진단이 중요한 목 디스크=목 디스크가 진행되면, 신경에 가해지는 압박이 심각해진다. 이로 인해, 팔을 올리기가 힘들고, 더욱 심해지면 식사가 힘들 정도로 마비가 진행된다. 또한 신경압박이 심해지면 감각이 둔해지고, 발목과 무릎이 마비되기도 한다. 신경전체가 눌리게 되면 대변, 소변의 기능 장애까지 생길 수 있다.
목 디스크의 진단에는 여러 가지 검사가 사용된다. X-선 촬영은 전체 뼈 구조와 요추의 불안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쓰이는 검사이고, MRI 검사는 신경의 압박여부를 직접관찰하기 위해, CT 검사는 신경관이나 신경공협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실시 된다. 더욱 전문적인 신경조영술은 신경막 내부에 약물을 투입한 후 X-선 촬영과 CT 검사를 시행하는 검사이다.
목 디스크의 정도가 심각하다면 수술이 불가피하다. 일반적으로 파열된 디스크를 제거한 후 원래 디스크가 있던 자리를 뼈 조직으로 대체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척추전문병원으로 척추관협착증, 허리디스크도 전문적으로 치료하고 있는 인천21세기병원 정현태·현용인 공동원장“최근에는 목 인공디스크 수술로 기존 디스크 수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있다. 이 방법은 손상된 디스크를 정상적인 디스크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인공디스크로 대체하는 방법이다” 라 소개했다.
또한 정현태·현용인 공동원장은 “무엇보다 환자 개개인에게 맞추어 척추의 맞춤형 치료를 하는 것과 척추질환의 예방과 재활에 이르기까지 전문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 키우려다 병 키웠다? (8) | 2007.08.28 |
---|---|
과일 먹으면 딸? 임신부 ‘음식 바로알기’ (5) | 2007.08.26 |
브릿지의 단점 '임플란트'로 해결 (5) | 2007.08.25 |
수험생의 건강을 위한 7가지 생활수칙 (5) | 2007.08.25 |
굶지 않으면서 몸짱·피부짱을 동시에 챙기는 노하우! (3) | 2007.08.25 |

일자목 증후군은 본래 C자형으로 완만한 곡선을 이루어야 하는 목 뼈가 컴퓨터 모니터나 TV를 볼 때 목을 쭉 빼고 보거나 소파 팔걸이를 베고 자는 등 일상생활 습관에 의해 일자로 펴져 통증을 유발하는 증상. 이렇게 목 뼈가 일자로 바뀌게 되면 뼈의 충격 완화 능력이 떨어지고, 목뼈(경추)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하는 디스크 역시 반복적인 압박을 받게 돼 납작하게 찌그러지게 되는 목 디스크를 유발할 수 있다.
자생한방병원 척추디스크센터 김학재 원장은 “일자목 증후군은 목과 어깨 주변의 가벼운 통증에서 시작하지만, 통증이 심화되어 진단을 받았을 때는 이미 디스크가 동반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평소 일자목에 관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원장의 도움으로 일자목 증후군을 유발하는 생활속 나쁜 자세를 지적한다.
▲발에 맞지 않는 구두나 샌들을 신는다=지나치게 작은 신발을 신거나 벗겨지기 쉬운 샌들을 신으면 무릎과 허리를 곧게 펴지 못하고 구부정하게 걷기 쉽다.
구부정한 자세는 목을 앞으로 내미는 거북목 자세를 만들어 목 근육에 부담을 주고 어깨 결림과 같은 통증을 줄 수 있다.
▲바닥에 신문을 펼쳐놓고 본다=신문은 일반 책보다 지면이 넓어 가정에서 신문을 볼 때, 바닥에 펼쳐 놓고 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신문을 바닥에 펼쳐 놓고 보면 눈과 신문의 거리가 멀어져 자연스럽게 목을 깊게 숙이게 된다. 매일 이런 자세로 신문을 보면 목과 어깨에 부담이 생기는 것은 당연한 일. 신문을 볼 때는 세로로 접어 눈높이로 올리고 보는 것이 좋다.
▲홀터넥 스타일의 옷을 즐겨 입는다=여름철 자주 입는 홀터넥 스타일의 옷은 목선을 우아하게 보여주는 효과는 있지만 목 건강에는 좋지 않다. 목 뒤로 끝을 묶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옷이 흘러내리거나 끈이 풀어질까 봐 나도 모르게 긴장을 하기 때문. 이는 목뼈와 주변 근육을 쉽게 피로하게 하여 목 건강에 해롭다.
▲소파 팔걸이 베고 자거나 침대에서 높은 베개 베고 책을 본다=휴일에 거실에서 TV를 보다가 소파 팔걸이를 베고 잠이 들거나 침대에서 높은 베개를 베고 책이나 TV를 보는 경우 목뼈가 앞으로 푹 꺾이게 된다.
이 경우 목 뒤의 근육과 어깨 근육이 함께 늘어나기 때문에 뻐근한 통증이 생기고 습관화되면 목 디스크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스포츠월드 조원익 기자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굶지 않으면서 몸짱·피부짱을 동시에 챙기는 노하우! (3) | 2007.08.25 |
---|---|
청소년 흡연, 키성장에 악영향 (4) | 2007.08.25 |
건선의 원인과 6가지 예방법 (1) | 2007.08.25 |
갱년기 장애의 증상과 자가진단법 (8) | 2007.08.25 |
늦여름 ‘배 아픈’ 불청객, 과민성 대장증후군 (5) | 2007.08.25 |